제1차 오히라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오히라 내각은 1978년 12월 7일부터 1979년 11월 9일까지 오히라 마사요시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한 일본의 내각이다. 자유민주당 소속의 각료들로 구성되었으며, 오히라 총리는 한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고, 전두환 정권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일본 - 중일평화우호조약
중일평화우호조약은 1972년 중일 국교 정상화 이후 양국 관계 발전을 목표로 1978년 체결되었으며, 반패권주의를 명시하고 동아시아 지역 정세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1978년 일본 - 1978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
1978년 미야기현 해역 지진은 1978년 6월 12일 일본 혼슈 북동부 해역에서 발생하여 사망자 28명, 부상자 1325명, 가옥 전파 1183건의 피해를 발생시켰으며, 도시 기능 마비와 건축 기준법 개정의 계기가 되었다. - 오히라 마사요시 - 제2차 오히라 내각
제2차 오히라 내각은 1979년 총선 후 '사십일 항쟁'을 거쳐 오히라 마사요시 총리 하에 출범했으나, 신자유 클럽과의 연립 구성 난항, 중국과의 관계 강화 추진, 내각 불신임 결의 가결, 오히라 총리의 급사로 이토 마사요시 내각관방장관 대리 체제를 거쳐 스즈키 젠코 총리 임명까지 직무 집행 내각으로 운영되었다. - 오히라 마사요시 - 중국 잔류 일본인
중국 잔류 일본인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국에 남겨진 일본인으로, 잔류 고아와 잔류 부인 등이 대표적이며, 귀국 후 일본 사회 적응의 어려움, 경제적 빈곤, 고령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1979년 일본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79년 10월 7일에 실시된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유민주당이 압승했으나 일본사회당 의석 감소와 일본공산당의 약진 등 다양한 정당들의 성과와 지역별 의석 분포 변화를 보였다. - 1979년 일본 - 제2차 오히라 내각
제2차 오히라 내각은 1979년 총선 후 '사십일 항쟁'을 거쳐 오히라 마사요시 총리 하에 출범했으나, 신자유 클럽과의 연립 구성 난항, 중국과의 관계 강화 추진, 내각 불신임 결의 가결, 오히라 총리의 급사로 이토 마사요시 내각관방장관 대리 체제를 거쳐 스즈키 젠코 총리 임명까지 직무 집행 내각으로 운영되었다.
제1차 오히라 내각 | |
---|---|
내각 정보 | |
내각 명칭 | 제1차 오히라 내각 |
일본어 명칭 | 제1次大平内閣 |
대수 | 68대 |
관할 | 일본 |
![]() | |
성립일 | 1978년 12월 7일 |
종료일 | 1979년 11월 9일 |
국가 원수 직함 | 천황 |
국가 원수 | 쇼와 |
정부 수반 직함 | 내각총리대신 |
정부 수반 | 오히라 마사요시 |
정당 | |border=darkgray}} 자유민주당 |
야당 | |border=darkgray}} 일본사회당 |border=darkgray}} 공명당 |border=darkgray}} 민주사회당 |border=darkgray}} 일본공산당 |
의회 현황 | 하원 다수당 정부 |border border-color=darkgray|per=1}} |
선거 | 제35회 총선 (1979) |
이전 내각 | 후쿠다 다케오 내각 (개조) |
다음 내각 | 제2차 오히라 내각 |
주요 정보 | |
수상 | 오히라 마사요시 |
수상 전 직책 | 중의원 의원, 자유민주당 총재 |
해산일 | 1979년 9월 7일 |
공식 웹사이트 | 총리 관저 - 역대 내각 |
2. 내각
제1차 오히라 내각은 1978년 12월 7일에 발족했다. 각료 명단과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다.
직책 | 대신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오히라 마사요시 | |
법무대신 | 후루이 요시미 | |
외무대신 | 소노다 스나오 | |
대장대신 | 가네코 잇페이 | |
문부대신 | 나이토 다카사부로 | |
후생대신 | 하시모토 류타로 | |
농림수산대신 | 와타나베 미치오 | |
통상산업대신 | 에사키 마스미 | |
운수대신 | 모리야마 긴지 | |
우정대신 | 시라하마 니키치 | |
노동대신 | 구리하라 유코 | |
건설대신 | 도카이 모토사부로 | |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 시부야 나오조 | |
내각관방장관 | 다나카 로쿠스케 | |
총리부 총무장관, 오키나와 개발청 장관 | 미하라 아사오 | |
행정관리청 장관 | 가나이 모토히코 | |
방위청 장관 | 야마시타 간리 | |
경제기획청 장관 | 고사카 도쿠사부로 | |
과학기술청 장관 | 가네코 이와조 | |
환경청 장관 | 우에무라 센이치로 | |
국토청 장관 | 나카노 시로 | |
내각관방부장관 (정무) | 가토 고이치 | 1978년 12월 8일 임명 |
내각관방부장관 (사무) | 오키나 규지로 | 1978년 12월 12일 임명 |
내각법제국 장관 | 사나다 히데오 | 1978년 12월 8일 임명 |
총리부 총무부장관 (정무) | 스미 에이사쿠 | 1978년 12월 8일 임명 |
총리부 총무부장관 (사무) | 아키토미 기미마사 | 1978년 12월 8일 임명 |
직책 | 정무 차관 |
---|---|
법무 | 모가미 스스무 |
외무 | 시가 세쓰 |
대장 | 하야시 요시로, 나카무라 다로 |
문부 | 고무라 사카히코 |
후생 | 야마사키 다쿠 |
농림 수산 | 가타오카 세이이치, 미야타 데루 |
통상 산업 | 나카지마 겐타로, 나카니시 이치로 |
운수 | 하야시 다이칸 |
우정 | 가메이 히사오키 |
노동 | 가와라 쓰토무 |
건설 | 와타나베 고조 |
자치 | 오이시 센파치 |
행정 관리 | 가스야 시게루 |
홋카이도 개발 | 사사키 만 |
방위 | 아리마 모토하루 |
경제 기획 | 노다 다케시 |
과학 기술 | 하뉴다 스스무 |
환경 | 산토 아키코 |
오키나와 개발 | 사카모토 지카오 |
국토 | 야스오카 오키하루 |
2. 1. 국무대신
직책 | 대신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오히라 마사요시 | 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 |
법무대신 | 후루이 요시미 | 자유민주당 (무파벌) |
외무대신 | 소노다 스나오 | 자유민주당 (무파벌) |
대장대신 | 가네코 잇페이 | 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 |
문부대신 | 나이토 다카사부로 | 자유민주당 (나카소네 파벌) |
후생대신 | 하시모토 류타로 | 자유민주당 (다나카 파벌) |
농림수산대신 | 와타나베 미치오 | 자유민주당 (나카소네 파벌) |
통상산업대신 | 에사키 마스미 | 자유민주당 (다나카 파벌) |
운수대신 | 모리야마 긴지 | 자유민주당 (미키 파벌) |
우정대신 | 시라하마 니키치 |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 |
노동대신 | 구리하라 유코 | 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 |
건설대신 | 도카이 모토사부로 |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 |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 시부야 나오조 | 자유민주당 (미키 파벌) |
내각관방장관 | 다나카 로쿠스케 | 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 |
총리부 총무장관, 오키나와 개발청 장관 | 미하라 아사오 | 자유민주당 (무파벌) |
행정관리청 장관 | 가나이 모토히코 | 자유민주당 (다나카 파벌) |
방위청 장관 | 야마시타 간리 | 자유민주당 (다나카 파벌) |
경제기획청 장관 | 고사카 도쿠사부로 | 자유민주당 (무파벌) |
과학기술청 장관 | 가네코 이와조 | 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 |
환경청 장관 | 우에무라 센이치로 | 자유민주당 (나카소네 파벌) |
국토청 장관 | 나카노 시로 |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 |
내각법제국 장관 | 사나다 히데오 | (1978년 12월 8일 ~ ) |
내각관방부장관 (정무) | 가토 고이치 | (1978년 12월 8일 ~ ) |
내각관방부장관 (사무) | 오키나 규지로 | (1978년 12월 12일 ~ ) |
총리부 총무부장관 (정무) | 스미 에이사쿠 | (1978년 12월 8일 ~ ) |
총리부 총무부장관 (사무) | 아키토미 기미마사 | (1978년 12월 8일 ~ ) |
2. 1. 1. 내각총리대신
오히라 마사요시(자유민주당, 오히라 파벌)2. 1. 2. 외무대신
소노다 스나오(자유민주당, 무파벌) 1980년 서울에서 열린 전두환 대통령 취임식에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했다.[1]2. 2. 내각관방부장관, 내각법제국 장관, 총리부 총무부장관
1978년 12월 8일 임명1978년 12월 12일 임명
1978년 12월 8일 임명
1978년 12월 8일 임명
1978년 12월 8일 임명